비갱신형 보험이란 무엇인가요?
비갱신형 보험이란, 일정한 보험료를 계약 시 정해진 기간 동안 동일하게 납입하며 보장을 받는 형태입니다.
갱신 없이 만기까지 보장이 유지되기 때문에, 보험료 인상 걱정이 없다는 점에서 많은 분들이 선호하고 있어요.
대표적으로 암보험, 건강보험, 정기보험에서 비갱신형 설계가 가능하며, ‘납입기간 20년, 보장기간 100세’ 형태가 보편적입니다.
초기 보험료는 갱신형보다 비싸지만, 장기적으로는 더 경제적일 수 있고, 특히 은퇴 후 고정 지출 관리에도 유리하죠.
갱신형 vs 비갱신형 보험 비교 포인트
두 상품은 보장 구조는 같지만 보험료 구조가 다릅니다. 아래 표를 통해 비교해 보세요.
구분 | 갱신형 | 비갱신형 |
---|---|---|
보험료 | 초기 저렴, 갱신 시 인상 | 초기 높음, 일정하게 유지 |
납입 예측 | 불안정 (갱신 주기마다 변동) | 예측 가능 (계약 시 확정) |
총 비용 | 장기적으로 높을 수 있음 | 장기적으로 유리 |
해지환급금 | 없거나 매우 적음 | 있거나 높은 편 |
전환 시 보험료 변화 및 납입 부담
비갱신형 보험의 가장 큰 단점은 초기 보험료 부담입니다.
특히 40세 이상에서는 보험료가 매우 높게 책정되기 때문에 전환 전 반드시 본인의 납입 여력을 체크해야 해요.
또 일부 보험사는 비갱신형 전환 시 건강심사나 계약 변경이 아닌 ‘신규 가입’으로 처리하여 조건이 까다로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납입기간이 긴 경우는 중도 해지 시 손해가 크기 때문에, 장기 유지 가능성을 고려해 설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